1. Git Bash를 실행시킨다

2. git remote -v 를 사용하여 현재 연결된 위치를 확인한다.

원하는 폴더가 아니면

git add origin remote 깃허브 홈페이지 레지스트리 들어간 뒤 주소 복사 붙여넣기로 

연결된 위치를 설정해준다.

 

3. git status 를 이용하여 변경된 사항이 있는지 확인 후에

4. git add *

5. git commit - "주석"

6. git push -u origin master

을 해준다.

'프로그래밍 공부 > 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DME 기본 꾸미기  (0) 2022.02.18
Github README에 사진 올리는 방법  (0) 2022.02.17
github 프로젝트 업로드 하기  (0) 2022.02.16

 


1. 구분선 만들기

----- 사용

미리보기


2. 들여 쓰기

>     사용

미리보기


3. 내부 체우기

```

로 감싸준다

```

미리보기


4. 원찍기

+    사용

 

미리보기


종합 사용 예시

 

미리 보기

1. 깃허브 홈페이지에서 Repositories 중 하나를 들어간다. -> Issues 클릭

2. New issue 클릭

3. 올리고 싶은 사진 파일 드레그해서 올린다.

4.  아래와 같이 텍스트가 나오면 복사하여 README에 붙여넣어주면 사진이 업로드 된다.

 

5. 성공

 

순서 요약

1. 깃허브 홈페이지에서 Repositories 중 하나를 들어간다. -> Issues 클릭

2. New issue 클릭

3. 올리고 싶은 사진 파일 드레그해서 올린다.

4. 텍스트가 나오면 복사하여 README에 붙여넣어주면 사진이 업로드 된다.


1. Github 홈페이지에서 로그인 후 [Repositories] -> [New] 를 눌러 새로운 저장소 생성


2. 이름 설정 후 [Create repositoy] 클릭하여 생성


3. 업로드할 파일을 열어 [마우스 우클릭] -> [Git Bash Here] 클릭해준다.


4. git 창이 뜨고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해준다.

-> git config --global user.name [나의 깃허브 이름]

-> git config --global user.email [깃허브 가입 이메일]

-> git init

-> git add*

git에 파일을 모두 추가해준다. 


5. git status 를 입력하면 현재 깃의 상태를 알 수 있다.


6. 주석을 달아준다

-> git commit -m "주석을 달아준다"


7. 주소를 연결해준다.

-> git remote add origin "깃허브 레포지토리 주소"


8. push 해주면 끝이난다.

-> git push -u orgin master


순서 요약

1. 홈페이지에서 [New] 눌러서 새로운 저장소 생성

2. 업로드할 파일에서 마우스 우클릭 후 [Git Bash Here] 클릭

3. 명령어 입력

-> git config --global user.name [나의 깃허브 이름]

-> git config --global user.email [깃허브 가입 이메일]

-> git init

-> git add*

-> git commit -m "주석을 달아준다"

-> git remote add origin "깃허브 레포지토리 주소"

-> git push -u orgin master

4. 홈페이지에 잘 올라갔는지 확인한다.

* 틈틈히 git status 로 확인하자

+ Recent posts